2 분 소요

코딩 테스트

길이가 같은 두 개의 큐가 주어집니다. 하나의 큐를 골라 원소를 추출(pop)하고, 추출된 원소를 다른 큐에 집어넣는(insert) 작업을 통해 각 큐의 원소 합이 같도록 만들려고 합니다. 이때 필요한 작업의 최소 횟수를 구하고자 합니다. 한 번의 pop과 한 번의 insert를 합쳐서 작업을 1회 수행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큐는 먼저 집어넣은 원소가 먼저 나오는 구조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큐를 배열로 표현하며, 원소가 배열 앞쪽에 있을수록 먼저 집어넣은 원소임을 의미합니다. 즉, pop을 하면 배열의 첫 번째 원소가 추출되며, insert를 하면 배열의 끝에 원소가 추가됩니다. 예를 들어 큐 [1, 2, 3, 4]가 주어졌을 때, pop을 하면 맨 앞에 있는 원소 1이 추출되어 [2, 3, 4]가 되며, 이어서 5를 insert하면 [2, 3, 4, 5]가 됩니다.

다음은 두 큐를 나타내는 예시입니다.

queue1 = [3, 2, 7, 2]
queue2 = [4, 6, 5, 1]
두 큐에 담긴 모든 원소의 합은 30입니다. 따라서, 각 큐의 합을 15로 만들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queue2의 4, 6, 5를 순서대로 추출하여 queue1에 추가한 뒤, queue1의 3, 2, 7, 2를 순서대로 추출하여 queue2에 추가합니다. 그 결과 queue1은 [4, 6, 5], queue2는 [1, 3, 2, 7, 2]가 되며, 각 큐의 원소 합은 15로 같습니다. 이 방법은 작업을 7번 수행합니다.
queue1에서 3을 추출하여 queue2에 추가합니다. 그리고 queue2에서 4를 추출하여 queue1에 추가합니다. 그 결과 queue1은 [2, 7, 2, 4], queue2는 [6, 5, 1, 3]가 되며, 각 큐의 원소 합은 15로 같습니다. 이 방법은 작업을 2번만 수행하며, 이보다 적은 횟수로 목표를 달성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각 큐의 원소 합을 같게 만들기 위해 필요한 작업의 최소 횟수는 2입니다.

길이가 같은 두 개의 큐를 나타내는 정수 배열 queue1, queue2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각 큐의 원소 합을 같게 만들기 위해 필요한 작업의 최소 횟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단, 어떤 방법으로도 각 큐의 원소 합을 같게 만들 수 없는 경우, -1을 return 해주세요.

</span>

위의 문제를 풀기 위해 javascript에서 제공하는 앞의 값을 빼내는 함수인 shift를 통한 풀이를 해보았다. 그러나 shift의 연산 결과가 생각보다 많은 부하를 가지고 있는지 시간 초과로 실패하게 되었다.
그래서 고전적인 방법으로 각각의 queue에 값들을 적재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function solution(queue1, queue2) {
    var answer = 0;
    const max_sort_count = queue1.length + queue2.length;
    let sum_queue1 = queue1.reduce((acc, cur, idx) => {return acc += cur;}, 0);
    let sum_queue2 = queue2.reduce((acc, cur, idx) => {return acc += cur;}, 0);
    console.log(sum_queue1);
    console.log(sum_queue2);
    
    let idx1 = 0;
    let idx2 = 0;

    //queue1에서 시작하는 것과 queue2에서 시작하는 거 두 개를 구분 지어서 해보도록 하자.
    while(sum_queue1 !== sum_queue2)
    {
        answer++;

        if(sum_queue1 < sum_queue2)
        {
            sum_queue1 += queue2[idx2];
            queue1.push(queue2[idx2]);
            sum_queue2 -= queue2[idx2++];
        }
        else
        {
            sum_queue2 += queue1[idx1];
            queue2.push(queue1[idx1]);
            sum_queue1 -= queue1[idx1++];
        }

        if(idx1 >max_sort_count || idx2 > max_sort_count)
        {
            return -1;
        }
    }

    return answer;
}

기술면접 준비

  1. async/await이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비동기 처리를 하기 위한 promise를 좀 더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ES8의 비동기 처리 방법. async는 항상 promise를 반환하며 await은 async 내부에서만 작동하며 promise가 처리될 때까지 딜레이를 준다. (비동기 처리를 동기 처리처럼 작업할 수 있게 해준다.). 프로미스가 멈춰 있는 동안 다른 작업은 작동되고 있는 상태인 것이다.

  1. hoisting이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변수나 함수 선언을 코드의 최상단으로 끌어올리는 것처럼 동작하는 것.